• 북마크
아찌넷

ajji.net

ajji.net

ajji.net

자유게시판

Re: 설계도 발견해 복원한 거북선 공개

- 별점참여 : 전체 0
  • - 별점평가 : 평점
  • - [ 0점 ]

본문

0002789699_001_20230319170101092.jpg?type=w647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이 1795년에 사용된 통제영 거북선을 이충무공전서의 귀선도설에 나와 있는 설계도를 토대로 컴퓨터 그래픽으로 복원한 결과. 채연석 박사 제공
0000886289_004_20230319175301672.jpg?type=w647
채연석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장(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이 문헌을 바탕으로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의 구조를 밝혔다./채연석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장
0000886289_005_20230319175301706.jpg?type=w647
채연석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장(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을 재현해 화포배치도와 측면도, 단면도(왼쪽 위부터 반시계방향) 등을 공개했다./채연석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장
0004983456_002_20230319142801730.jpg?type=w647
채연석 박사가 자료를 재해석한 거북선의 단면도. 이 단면도의 특징은 2층 노젓는 공간과 3층 함포 배치공간의 면적이 다르다. 채연석 박사 제공18세기 거북선 실물이 복원됐다. 
그동안 제각각 달랐던 거북선 실제 모습이 18세기에 사용된 거북선 설계도를 토대로 고증한 끝에 처음 복원된 것이다. 
우리에게 알려진 기존 거북선보다 길이(상장)는 짧고 폭은 넓은 게 특징이다. 
거북선 3층 개판(지붕)은 전체를 씌운 게 아니라 중앙 부분만 덮힌 형태다.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1795년에 사용된 '통제영 거북선' 복원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통제영 거북선 구조와 규모, 외형, 함포배치에 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국내 학술지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해양(제9호, 지난해 12월 발행)'에 실렸다. 
채 전 원장은 실물 거북선을 65분의 1로 축소한 모형과, 유클리드소프트의 지원을 받아 컴퓨터 그래픽으로 제작한 거북선 모습을 공개했다.

지금까지 거북선은 설계도와 문헌자료 등을 찾지 못해 복원자에 따라 모습과 구조가 제각각이었다. 
채 전 원장은 1795년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의 귀선도설이 19세기 초 거북선 건조에 사용된 설계도라는 것을 1793∼1794년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던 신대현이 순조 9년(1809년) 4월에 기록한 '비변사등록'을 통해 확인했다.

0002789699_002_20230319170101118.jpg?type=w647
채연석 전 항우연 원장이 1795년에 사용된 거북선 복원을 65분의 1로 축소한 모형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준기기자비변사등록에는 배(거북선)를 개조하거나 새로 건조할 때는 '이충무공전서'에 나오는 도식대로 해야 한다고 적시돼 있다. 
이충무공전서의 귀선도설에는 당시(1795년)의 통제영 거북선과 전락좌수영 거북선 두 종류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채 박사는 이중 규격과 구조가 자세히 설명돼 있는 '통제영 거북선'을 토대로 복원했다.

채 박사에 따르면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의 상장(갑판)은 길이 26.6m(85척), 폭 10m(32척)의 규격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배의 크기는 달라도 거북선 건조 때 이 규격을 적용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는 "그동안 진행된 거북선 관련 대다수 연구가 사신선 규격을 참고로 2, 3층의 갑판 크기를 추정해 연구자마다 규격이 달랐다"며 "거북선의 경우 규격이 상장 길이는 저판(밑바닥) 대비 1.31배, 상장 길이는 폭의 2.65배로 정확한 게 이전 연구와 다른 차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거북선의 규격이 배를 건조할 때 일종의 '표준' 역할을 한 셈이다.

0002789699_003_20230319170101128.jpg?type=w647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거북선 3층 개판의 특징도 밝혀졌다. 
거북선 지붕은 전체를 둥글게 씌운 형태가 아닌 갑판 중앙 부분에만 판자를 세우고 지붕을 올린 것으로, 그동안 알려졌던 모습과 차이가 있다.

채 박사는 "배의 맨 위에 해당하는 3층 무게가 커지면 운항과 전투 중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만큼 3층 전체에 지붕을 씌울 수 없었다"며 "전투 중 수군이 갑판의 한쪽으로 몰려 배가 침몰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개판은 3층 중앙 부분만 설치하고, 그 속에 함포를 장착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그 근거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 '통제영 해유문서(1894년)'에서 확인했다. 
이 문서에는 2층과 3층 좌우와 전후에 함포를 배치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와 함께 채 박사는 거북선에 장교 6명, 사부 18명, 화포장 10명, 포수 24명, 격군 120명 등 총 182명이 탑승하고, 수군들이 한 달 동안 사용할 군량미 52석, 찐쌀 6석, 미숫가루 3석 등 총 61석의 군량미를 1층 창고에 실었던 사실도 공개했다.

채 박사는 "조선 후기 거북선의 진짜 모습을 설계도를 기반으로 복원하고, 하나의 정해진 규격에 따라 거북선이 건조됐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전라좌수영 거북선을 복원해 임진왜란 때 거북선과의 차이를 밝히고 우리 선조들의 우수한 해군력을 입증하는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채 박사는 지난 2015년 거북선에서 사용했던 포 등 화포 배치를 통해 내부 구조를 복원한 바 있다.

0002789699_004_20230319170101135.jpg?type=w647
채연석 전 항우연 원장이 1795년 사용된 거북선 복원 모형으로 복원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준기기자
0002789699_005_20230319170101142.jpg?type=w647
채연석 전 항우연 원장이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을 복원한 모습. 채연석 전 원장 제공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전체 44,131 건 - 1 페이지
제목
회원사진 레벨 아찌넷 1,680 0 0 2023.10.30
회원사진 레벨 아찌넷 1,625 2 0 2023.07.20
회원사진 레벨 아찌넷 1,270 0 0 2023.06.23
회원사진 레벨 아찌넷 11,477 0 0 2021.01.29
회원사진 레벨 딸바보애비 63 0 0 4시간 29분전
회원사진 레벨 안졸리나졸리 78 0 0 6시간 29분전
회원사진 레벨 진로이즈백 81 0 0 7시간 45분전
회원사진 레벨 곰돌아찌 77 0 0 7시간 48분전
회원사진 레벨 후니아빠 72 0 0 8시간 34분전
회원사진 레벨 푸코의꼬추 131 0 0 2024.04.17
회원사진 레벨 아리송송 159 0 0 2024.04.17
회원사진 레벨 느그아부지뭐하시노 102 0 0 2024.04.17
레벨 상남자야 138 0 0 2024.04.17
회원사진 레벨 삐뚤어질테다 103 0 0 2024.04.17
회원사진 레벨 AV매니아 123 0 0 2024.04.17
레벨 타잔 116 0 0 2024.04.17
회원사진 레벨 엄마쟤흙먹어 128 0 0 2024.04.17
회원사진 레벨 진로이즈백 132 0 0 2024.04.17
회원사진 레벨 바람둥이소년 152 0 0 2024.04.16
레벨 아리랑아라리요 162 0 0 2024.04.16
회원사진 레벨 후니아빠 148 0 0 2024.04.16
회원사진 레벨 오동통한내너구리 163 0 0 2024.04.16
회원사진 레벨 푸코의꼬추 146 0 0 2024.04.16
회원사진 레벨 삐뚤어질테다 85 0 0 2024.04.16
회원사진 레벨 느그아부지뭐하시노 180 0 0 2024.04.16
레벨 밀떡 106 0 0 2024.04.16
회원사진 레벨 아리송송 172 0 0 2024.04.16
레벨 타잔 158 0 0 2024.04.16
회원사진 레벨 차덕후 111 0 0 2024.04.16
레벨 상남자야 141 0 0 2024.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