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아찌넷

ajji.net

ajji.net

ajji.net

지식정보

지식정보 게시판은 회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회생활의 각종 지식과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이 게시판은 회원 로그인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가십성 콘텐츠는 자유게시판을 활용해 주세요.

생활 속 바둑용어

- 별점참여 : 전체 0
  • - 별점평가 : 평점
  • - [ 0점 ]

본문

01878f824f90ec0a177b44861074243e_1631832215_74533.jpg
01878f824f90ec0a177b44861074243e_1631832215_85704.jpg
01878f824f90ec0a177b44861074243e_1631832215_96997.jpg
01878f824f90ec0a177b44861074243e_1631832216_10622.jpg
01878f824f90ec0a177b44861074243e_1631832216_24416.jpg
01878f824f90ec0a177b44861074243e_1631832216_36227.jpg
 


1. 바둑

바둑은 두 사람이 흑돌, 백돌을 나누어 갖고 번갈아 바둑판에 놓으면서 집을 만드는 게임이다. 바둑판에 그려진 점 위에 바둑돌을 두면 된다. 집을 두 개 이상 가져야 할 수 있고 더 많은 집을 가진 쪽이 이긴다.



2. 흑돌과 백돌

흰색 바둑돌인 백돌은 실력이 더 뛰어난 사람이 갖고 둔다. 때문에 상수라고도 불린다. 검은색 바둑돌 흑돌은 실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사람에게 주어진다. 실력이 비슷한 두 사람이 두는 '맞바둑'일 때는 흑돌과 백돌을 번갈아 가진다. 이세돌 9단과 알파고도 흑돌과 백돌을 교대로 갖고 두고 있다.



3. 반상 

바둑판 위를 반상이라고 한다.



4. 수

바둑 돌을 두는 수법, 수단을 말한다. 예컨대 "알파고가 24번째 수에서 독특한 수를 뒀다", "알파고의 90수는 실망스러웠다"는 말로 이해하기 쉽다.



5. 착수

바둑판 위에 바둑돌을 올리는 행위를 뜻한다. 한 번 착수한 돌은 다른 곳으로 옮겨 둘 수 없다. 판에 올려 놓은 뒤 끌어 옮기는 것은 반칙은 아니지만, 예의에 어긋난 행동이다.



6. 행마

원래 놓여 있던 돌 주변에 새로운 돌을 두는 행위를 말한다. 두는 모양에 따라 날 일(日)자, 입 구(口), 눈 목(目), 밭 전(田)자 행마 등이 있다.



7. 활로

바둑판에 돌을 놓을 수 있는 빈 공간이다. 자신의 돌을 기준으로 직선, 대각선 방향이다. 활로가 하나만 남아 있는 상태를 일컫는 말은 '단수'다. 여기서 한 수만 더 두면 돌을 딸 수 있다. 



8. 귀

바둑판의 네 모퉁이 화점 안 쪽을 이르는 말이지만, 경계가 명확하진 않다. 화점이란 바둑판에 찍힌 9개의 점이다. 좌상귀는 바둑을 두는 사람의 시점에서 왼쪽 위에 있는 곳이다. 좌하귀는 왼쪽 아래에 있다. 우상귀는 오른쪽 위, 우하귀는 오른쪽 아래에 있는 곳이다. 



9. 소목

귀에 돌을 착수하는 지점 중 하나다. 바둑판에 그어진 선 중에 바깥쪽에서 각각 3번째, 4번째 선이 교차하는 지점들이다. 외목은 각각 3번째, 5번째 선이 교차하는 지점들이다. 외목은 소목에 비해 바둑판의 변이나 중앙으로 나아가기 유리하다.



10. 포석

대국 초반에 진영을 만들기 위해 돌을 놓는 일을 말한다. 바둑판 위 9개 점에 착수하는 화점 포석, 소목에 착수는 소목 포석 등 바둑돌로 형세를 만드는 행위다. 대국 중반은 서로 싸움을 하는 단계로 '전투'라고 한다.



11. 정석

가장 안전하게 돌을 두는 방법이다. 공격이나 수비에 모두 쓸 수 있는 말이다. 



12. 장고

대국 중에 변화다 다른 수를 두기 위해 오랫동안 생각하는 행위를 뜻한다. "장고 끝에 악수 나온다"는 속담도 있지만, 신중한 대국 자세를 뜻하기도 한다. 악수는 '불리한 수'라는 뜻이다. 



13. 흔들기

대국 흐름에 변화를 주기 위해 예상을 벗어난 수를 두는 것을 말한다. 



14. 외곬수

수를 두는 흐름에 변화가 없고 한 곳으로만 나아가는 수를 뜻한다.



15. 대마

큰 말을 한자어로 쓴 것이다. 바둑판 위에 돌이 넓게 자리를 잡은 형태를 말하는 단어다. 대마는 상대방이 죽이기 힘든 수이기도 하다. 사자성어 대마불사(大馬不死)는 이 대마는 잘 죽지 않는다는 특성에서 나온 말이다. 간혹 대마를 너무 믿었다가 죽이는 실수를 범하기도 한다.



16. 미생

유리한 형세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완전히 죽지도 않은 상태다. 고단한 직장 생활을 묘사한 드라마 제목으로도 쓰였다. 미생인 대마는 승리를 좌우하기도 한다. 완생은 완전히 살아있는 상태다. 독립된 두 눈을 확보해 그 자체로 살아있는 형태다.



17. 끝내기 싸움

대국이 끝나기 전, 집의 구획을 확정하기 위해 끝마감을 하는 단계다. 초반을 포석, 중반을 전투라고 한다면 승리를 맺기 위한 마무리 단계인 셈이다. 더 싸울 곳이 없는 상태에서 누가 먼저 착수하느냐를 두고 집의 구획을 확정해나간다. 먼저 돌을 두는 사람이 유리하다.



18. 초읽기

주어진 제한 시간을 다 쓰고 난 뒤 1분 이내 제한 시간을 두고 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계시원이 시간을 숫자로 읽어주기 보다 종소리, 기계음으로 대신한다.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것은 대국이 무제한으로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초읽기에 들어가면 시간에 쫓기다 보니 큰 실수가 나와 대역전극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결은 2시간 제한시간에 60초 초읽기 3회로 한다.



19. 불계승

계가를 하지 않고도 이기는 것이다. 불계패란 계가를 하지 않고 지는 것이다. 보통 스스로 패배를 인정했을 때 불계패로 지게 된다. 이세돌 9단은 알파고와 1국에서 불계패로 졌다.



20. 계가

대국을 마친 후 승패를 가리기 위해 집 수를 헤아리는 행위다. 상대방의 죽은 돌과 본인이 따낸 돌을 합쳐 상대방이 만든 집을 메운다. 다 메운 뒤 남아있는 집을 세 비교해 승부를 가리는 것이다.



* 타개 (打開)

매우 어렵거나 막힌 일을 잘 처리하여 해결함.



* 패착 (敗着)

바둑에서, 그곳에 돌을 놓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 판에서 지게 된 아주 나쁜 수.



* 복기 (復棋/復碁)

바둑에서, 한 번 두고 난 바둑의 판국을 비평하기 위하여 두었던 대로 다시 처음부터 놓아 봄.



* 훈 수 (訓手)

바둑이나 장기 따위를 둘 때에 구경하던 사람이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줌. 남의 일에 끼어들어 이래라저래라 하는 말.



* 초(秒)읽기

바둑에서, 기록을 맡아보는 사람이 둘 차례가 된 기사의 제한 시간이 5분이나 10분밖에 남지 않았을 때부터 시간이 흐르는 것을 초 단위로 알려 주는 일. 어떤 일이 시간상 급박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입신 (入神)

기력(棋力)을 나타내는 용어. 신과 같은 경지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9단을 이른다.



* 꼼수

쩨쩨한 수단이나 방법. 상대에게 이득을 꾀하는 수. 상대에게 들통날 때는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된다.



* 묘수(妙手)

평소 생각해내기 어려울 만큼 뛰어난 수.



* 악수 (惡手)

패배로 이끄는 나쁜 수. ‘장고 끝에 악수 둔다’로 쓰인다.



* 자충수 (自充手)

자충수는 스스로 자신의 활로를 메우는 수. 



* 패착 (敗着)

스스로 행한 행동이 결국에 가서는 자신에게 불리한 결과를 가져오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포석 (布石)

중반전의 싸움이나 집 차지에 유리하도록 초반에 돌을 벌여 놓는 일. 앞날을 위하여 미리 손을 써 준비함.



* 정석 (定石)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공격과 수비에 최선이라고 인정한 일정한 방식으로 돌을 놓는 법.



* 꽃놀이패 (霸)

한 편은 패가 나면 큰 손실을 입으나, 상대편은 패가 나도 별 상관이 없는 패. 한쪽의 부담이 일방적으로 큰 패를 말한다. 



* 대마불사 (大馬不死)

대마가 결국은 살길이 생겨 쉽게 죽지 않는 일.



* 대마 (大馬)

바둑에서, 많은 점으로 넓게 자리를 잡은 말.



* 사활 (死活)

바둑에서 돌의 삶과 죽음을 이르는 말.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56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