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아찌넷

ajji.net

ajji.net

ajji.net

지식정보

지식정보 게시판은 회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회생활의 각종 지식과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이 게시판은 회원 로그인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가십성 콘텐츠는 자유게시판을 활용해 주세요.

술 마시면 얼굴 빨개지는 사람이 조심할 질환

- 별점참여 : 전체 0
  • - 별점평가 : 평점
  • - [ 0점 ]

본문

0000054621_001_20221012112301409.jpg?type=w647

술 마실 때 얼굴이 잘 빨개지는 이유는 체내에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효소가 적기 때문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술 마실 때 남들에 비해 얼굴이 유독 빨개지는 사람들이 있다. 이유가 뭘까?

체내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ALDH )가 적기 때문이다.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는 알코올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효소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미주신경, 교감신경을 자극해 어지럼증과 구토 증세를 유발하는 발암물질이다.  ALDH 가 부족하면 다 분해되지 못한 혈액 속 아세트알데하이드가 혈관을 이완시켜 얼굴을 빨갛게 하고 숙취를 유발한다.

체내  ALDH 가 부족한 사람은 자주 술을 마시면 관상동맥질환에 걸릴 확률도 높다.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쉽게 증가하는데, 이로 인해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HDL  콜레스테롤은 혈관질환의 주범인 과다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좋은 콜레스테롤'이다.  HDL  콜레스테롤이 부족하면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경련으로 혈관이 수축해 발생하는 '변이형 협심증' 등에 걸릴 수 있다. 이때 담배까지 피우면 질환 발생 위험이 훨씬 높아져 심장질환으로 급사할 확률이 급격히 치솟는다. 따라서 음주 시 얼굴이 잘 빨개지는 사람은 되도록 술을 입에 대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숙취 해소제도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시중에 유통되는 숙취해소제의 주성분은 효모추출물로 간의 부담을 덜어주긴 하지만  ALDH  부족을 해소해주진 않는다.  ALDH  분비량은 후천적으로 늘릴 수 없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 건 - 2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