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아찌넷

ajji.net

ajji.net

ajji.net

지식정보

지식정보 게시판은 회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회생활의 각종 지식과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이 게시판은 회원 로그인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가십성 콘텐츠는 자유게시판을 활용해 주세요.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테스트 결과

- 별점참여 : 전체 0
  • - 별점평가 : 평점
  • - [ 0점 ]

본문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고온에서 사용 시 충전속도 최대 2.8배 느려져

- 거치 안정성, 내구성 등 성능 차이는 크지 않아 -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가격·품질 비교정보는 ‘소비자24(www.consumer.go.kr)’ 내 ‘일반비교정보’란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예정임.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는 차량의 대시보드‧송풍구 등에 장착하여 스마트폰 거치와 무선충전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최근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유통 제품 간 품질 차이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시험‧평가한 결과, 겨울철 히터가 작동하는 송풍구에 거치하는 등 온도가 올라가는 고온(30℃) 조건에서는 충전시간이 최대 2.8배 늘어나 소비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비(NV29-CWC15Q), 더존(TZ-C100), 만도(MD20), 메이튼(고충 ver.2), 신지모루(오그랩엑스), 아이나비(SHC-20), 아이리버(ICR-A300), 오아(와이더P), 주파집(CWC02), 케이엠모터스(충잘) (가나다순)


  반면, 스마트폰의 상온(20℃) 충전시간(충전속도), 거치 안정성, 자동 그립의 내구성 등은 제품별 성능 차이가 크지 않았다. 


☐충전시간, 상온 조건(20℃)에서는 제품 간 차이가 적었으나, 고온 조건(30℃)에서 사용 시 최대 2.8배 늘어나 소비자 주의 필요(세부내용, 7페이지)


ㅇ(충전시간) 스마트폰*을 완전히 방전시킨 후 충전 완료까지 소요되는 충전시간은 상온(20℃)에서는 제품 간 최대 14분(2시간 15분~2시간 29분) 정도로 차이가 적었으나, 겨울철 히터 작동 등 온도가 상승한(20℃→30℃) 조건에서는 충전 시간이 최대 2.8배(1.9배~2.8배)까지 늘어났다.

*갤럭시 S21 스마트폰 사용

-(20℃조건)상온(20℃) 조건에서 충전시간은 나비(NV29-CWC15Q), 만도(MD20), 메이튼(고충ver.2), 신지모루(오그랩엑스), 아이나비(SHC-20), 케이엠모터스(충잘) 등 6개 제품이 2시간 10분대였고, 더존(TZ-C100), 아이리버(ICR-A300), 오아(와이더P), 주파집(CWC02) 등 4개 제품은 2시간 20분대로 상대적으로 길었다.

-(30℃조건)고온(30℃)에 노출되는 환경에서의 충전시간은 4시간30분~6시간13분 수준으로 모든 제품이 상온(20℃) 조건에 비해 최소 1.9배에서 최대 2.8배 증가했고, 6시간13분 소요된 나비(NV29-CWC15Q) 제품이 가장 길었다.

  ※겨울철 히터가 작동하는 송풍구에 설치하는 등 온도가 높아진 환경에서 사용하게 되면 충전속도(시간)가 느려질 수 있음.


☐거치 안정성, 8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세부내용, 8페이지)


ㅇ(거치 안정성)진동 및 충격 시험을 통해 스마트폰의 거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나비(NV29-CWC15Q), 더존(TZ-C100), 만도(MD20), 메이튼(고충ver.2), 신지모루(오그랩엑스), 아이나비(SHC-20), 오아(와이더P), 주파집(CWC02) 등 8개 제품은 진동‧충격에서 이상이 없어 상대적으로 ʻ우수ʼ했다.

-아이리버(ICR-A300), 케이엠모터스(충잘) 등 2개 제품은 ʻ양호ʼ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내구성(자동 그립), 제품 모두 우수(세부내용, 9페이지)


ㅇ(내구성)자동 그립을 10초 간격으로 반복 작동시켜 자동 그립의 내구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제품이 1만 회 작동 후에도 이상이 없어 ʻ우수ʼ했다.


☐무선충전의 Qi 규격, 제품 모두 충족하지 못해(세부내용, 10페이지)


ㅇ(무선충전[Qi규격*])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무선충전 국제규격인 Qi(치) 규격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출력 신뢰성과 전도성 이물감지’**를 시험한 결과, 제품 모두 Qi(치) 규격의 인증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무선전력위원회(Wireless Power Consortium)에서 제정한 자기유도형 무선충전의 국제규격으로 강제 기준이 아닌 단체 인증 규격임.

   **Guaranteed power(출력 신뢰성) : 다양한 부하에서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하는지 확인하는 시험

Foreign Object Detection(전도성 이물감지) : 스마트폰과 거치대 사이에 전도성 이물이 삽입 되었을 때 무선충전이 중지되거나 이물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 과열되는지 확인하는 시험


☐안전성(전자파발생량)은 제품 모두 이상 없고, 일부 제품 주의사항 표시개선 필요(세부내용, 11페이지)


ㅇ(전자파발생량)제품 작동 중 30cm 거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강도(전자파발생량)*를 확인한 결과, 제품 모두 전자파인체보호기준을 충족해 이상이 없었다.

    *전자파인체보호기준(전파법)에 명시된 일반인에 대한 노출지수


ㅇ(주의사항) 시험 결과, 대부분 제품이 고온 조건에서 충전속도가 느려지고 전도성 이물감지 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온 조건에서 충전시간 증가(변화) 또는 이물에 대한 주의사항’을 표시하지 않았던 6개 브랜드*에 대해 표시개선을 권고했고, 해당 업체 모두 권고안을 수용하여 주의사항을 표기할 예정이다. 

    *㈜메이튼, ㈜신지모루, 팅크웨어㈜(아이나비), ㈜드림어스컴퍼니(아이리버), 오아㈜, 케이엠모터스㈜


 한국소비자원은 향후에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지원하기 위해 무선 제품(생활가전‧차량용품)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 비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220207_???+????+???+??+??_????004.jpg


220207_???+????+???+??+??_????005.jpg


3

종합 평가(요약)



 충전시간, 거치 안정성, 내구성 등에서 제품별 차이가 크지 않아  구성품·부가기능 및 가격 등을 고려한 제품 선택 필요


ㅇ나비(NV29-CWC15Q)제품은 충전시간이 상온(20℃)에서 2시간 10분대로 상대적으로 짧았고, 고온(30℃) 조건에서는 6시간 13분으로 가장 길었음. 거치 안정성과 자동 그립의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지만, 무선충전의 Qi 규격을 충족하지 못했음. 가격(27,500원)은 가장 저렴했음.


ㅇ더존(TZ-C100), 오아(와이더P), 주파집(CWC02) 제품은 충전시간이 상온(20℃)에서 2시간 20분대로 상대적으로 길었고, 고온(30℃) 조건에서는 4시간 30분대였음. 거치 안정성과 자동 그립의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지만, 무선충전의 Qi 규격을 충족하지 못했음. 더존(32,800원), 오아(29,900원), 주파집(28,400원) 제품의 가격은 평균(33,600)보다 저렴했음.


ㅇ만도(MD20), 메이튼(고충ver.2), 신지모루(오그랩엑스), 아이나비(SHC-20) 제품은 충전시간이 상온(20℃)에서 2시간 10분대로 상대적으로 짧았고, 고온(30℃) 조건에서는 4시간 30분대였음. 거치 안정성과 자동 그립의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지만, 무선충전의 Qi 규격을 충족하지 못했음. 가격은 만도(32,300원), 메이튼(30,400원), 신지모루(29,400원)가 평균(33,600)보다 저렴했고, 아이나비(50,400원)는 가장 비쌌음.


ㅇ아이리버(ICR-A300) 제품은 충전시간이 상온(20℃)에서 2시간 20분대로 상대적으로 길었고, 고온(30℃) 조건에서는 4시간 30분대였음. 거치 안정성은 ‘양호’한 수준이었고, 자동 그립의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지만, 무선충전의 Qi 규격을 충족하지 못했음. 가격(42,200원)은 두 번째로 비쌌음.


ㅇ케이엠모터스(충잘) 제품은 상온(20℃)에서 2시간 10분대로 상대적으로 짧았고, 고온(30℃) 조건에서는 4시간 30분대였음. 거치 안정성은 ‘양호’한 수준이었고, 자동 그립의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지만, 무선충전의 Qi 규격을 충족하지 못했음. 가격(32,770원)은 평균(33,600) 수준이었음.


4

주요 항목별 시험·평가 및 조사 결과


가. 충전시간(충전속도)


☐ 충전시간은 상온에서 제품 간 차이가 적었고, 사용온도 상승(20℃→30℃) 시 최대 2.8배(1.9배 ~ 2.8배) 증가해


ㅇ방전된 스마트폰을 완전히 충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음.


ㅇ스마트폰(갤럭시 S21)을 완전히 방전시킨 후 충전 완료까지 소요되는 충전 시간은 상온(20℃)에서는 제품 간 최대 14분(2시간 15분~2시간 29분) 정도로 차이가 적었으나, 사용온도가 상승한(20℃→30℃) 조건에서는 최대 2.8배(1.9배~2.8배)까지 증가했음.


ㅇ(20℃조건)상온(20℃) 조건에서의 충전시간은 제품별로 2시간15분~2시간29분 수준으로 제품 간 차이가 최대 14분 정도로 크지 않았음.

-나비(NV29-CWC15Q), 만도(MD20), 메이튼(고충ver.2), 신지모루(오그랩엑스), 아이나비 (SHC-20), 케이엠모터스(충잘) 등 6개 제품은 2시간 10분대로 상대적으로 짧았음.

-더존(TZ-C100), 아이리버(ICR-A300), 오아(와이더P), 주파집(CWC02) 등 4개 제품은 2시간 20분대로 상대적으로 길었음.


ㅇ(30℃조건)30℃ 사용 환경에서 충전시간은 나비(NV29-CWC15Q) 제품이 6시간 13분으로 상대적으로 길었고, 나머지 9개 제품은 4시간 30분~4시간 39분 수준으로 제품 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음.


ㅇ(고온시충전시간변화)사용온도가 20℃에서 30℃로 상승 시 모든 제품의 충전시간이 최소 1.9배에서 최대 2.8배 수준으로 늘어났음.

-특히 겨울철 히터가 작동하는 송풍구에 제품을 거치하는 등 온도가 높아진 환경에서 사용하게 되면 충전속도(시간)가 느려질 수 있음.



220207_???+????+???+??+??_????008.jpg


220207_???+????+???+??+??_????009.jpg



라. 무선충전(Qi 규격)


☐제품 모두 Qi(치) 규격을 충족하지 못해


ㅇQi(치)* 규격은 무선전력위원회(WPC)**에서 제정한 자기유도형 무선충전의 국제규격으로 강제 기준이 아닌 단체 인증 규격임.

     *무선전력위원회(WPC)에서 제정한 무선충전의 국제규격임.

     **WPC(Wireless Power Consortium)는 자기유도형 무선충전의 국제규격을 제정하고 인증하는 국제 표준화 단체임(스마트폰, 가전제품 제조사 등 약 500개의 회원사가 참여)

-독자적인 방식으로 개발된 무선충전 기술은 다른 제조사 제품과 호환되지 않지만, Qi 규격 기술을 적용한 제품은 여러 제조사 제품 간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ㅇ무선충전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국제기준이 별도로 제정되어 있지 않아 국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Qi 규격* 시험을 통해 무선충전의 품질을 평가함.

     *Qi 규격은 5W 이하(BPP[Baseline Power Profile]), 5W 초과 15W 이하(EPP[Extended Power Profile])로 구분되어 있음.


ㅇ(무선충전[Qi규격])출력 신뢰성* 및 전도성 이물감지** 등의 Qi 규격 시험을 통해 무선충전(Qi 규격) 품질을 시험한 결과, 제품 모두 Qi 규격의 인증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음.

     *Guaranteed power(출력 신뢰성) : 다양한 부하에서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하는지 확인하는 시험

     **Foreign Object Detection(전도성 이물감지) : 전도성 이물이 과열되는지 확인하는 시험


ㅇ(출력신뢰성)스마트폰으로 안정적인 출력 전압을 보낼 수 있는지 확인하는 시험으로 수신기의 부하저항을 변경하면서 수신되는 정류 전압 등이 Qi 기준치를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시험임.

-시험 결과, 제품 모두 Qi 인증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으며, 나비(NV29-CWC15Q) 제품은 5W 초과 15W 이하 규격(EPP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았음.


ㅇ(전도성 이물감지)스마트폰과 거치대 사이에 동전모양(강철 디스크), 반지모양(알루미늄 링), 알루미늄 호일 등의 전도성 이물이 삽입되었을 때, 무선충전을 중지시키거나 이물의 온도가 특정 온도(60℃ 또는 80℃) 미만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임.

-시험 결과, 제품 모두 Qi 인증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음.

     ※아이리버(ICR-A300) 제품은 5W 이하 규격(BPP)에는 적합했으나, 5W 초과 15W 이하 규격(EPP)의 인증기준은 충족하지 못했음.

-스마트폰 케이스에 카드를 끼워 사용하는 소비자가 많고, 전도성 물질로 된 그립 링도 판매되고 있어 이물감지 성능이 미흡하다면 카드의 IC칩 등 전도성 물질의 온도가 상승해 스마트폰과 거치대가 손상될 위험이 있음.



마. 안전성(전자파발생량) 및 표시사항


☐전자파발생량 및 표시사항은 제품 모두 이상 없어


ㅇ(전자파발생량)제품 작동 중 30cm 거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강도(전자파발생량)*를 측정한 결과, 제품 모두 전자파인체보호기준을 충족해 이상이 없었음.

    *전자파인체보호기준(전파법)에 명시된 일반인에 대한 노출지수


ㅇ(표시사항)전자파 적합성평가 표시기준에 따라 표시사항을 확인한 결과, 제품 모두 기준에 적합했음.


ㅇ(주의사항)시험 결과, 모든 제품이 고온 조건에서 충전속도가 느려지고 전도성 이물감지 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주의 및 안내가 필요함.

    ※ 동봉된 사용설명서 등에 ʻ고온으로 인한 충전시간 변화ʼ 및 ʻ이물에 대한 주의사항ʼ 표기를 권고함.


ㅇ주의사항 등의 표시사항이 미흡한 메이튼(고충ver.2), 신지모루(오그랩엑스), 아이나비(SHC-20), 아이리버(ICR-A300), 오아(와이더P), 케이엠모터스(충잘) 등 6개 제품은 권고안을 수용하여 주의사항 등을 표기하기로 함.

-나비(NV29-CWC15Q), 더존(TZ-C100), 만도(MD20), 신지모루(오그랩엑스), 주파집(CWC02) 등 5개 제품은 사용설명서에 고온으로 인한 충전시간 변화(증가)와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고 있었음.

1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53 건 - 3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