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아찌넷

ajji.net

ajji.net

ajji.net

신상게시판

힌유총 쟁점 총정리

- 별점참여 : 전체 0
  • - 별점평가 : 평점
  • - [ 0점 ]

본문

한유총 관련...
쟁점 정리.

한유총의 요구 사항 : 
건물 사용료, 임대료를 에듀파인에서 인정하라.

교육부 대응 :
교육기관이므로 불가능, 이게 되려면 사립 초중고도 이런 걸 인정해야 하는 데, 말도 안됨. 이미 각종 면세와 지원금, 누리과정 예산까지 지원하므로 절대 불가. 필요하면 급여로 받아가라. 10억을 받던, 100억을 받아가든 급여로 처리해라.

교육부 대응대로 세금내고 원장 급여로 가져가면 되는 데
왜 못하고, 급진적인 개원 연기 카드가 나왔냐면.

유치원이 사실 오랜 기간 자본가들의 갭투자 투기장이었던 것.
2중, 3중 대출로 무리하게 여러 개 (인터뷰 뉘앙스는 수십개 유치원
보유 준재벌도 있는 듯) 유치원을 보유하고 있으니,
대출 이자를 감당하기 위해, 유치원당 1년 평균 2~3억 어치의 부정을
해야 유지되는 구조. (유치원 설립 비용 30~50억 기준)

이걸 5개만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레버리지를 200억 가량 쓰는 셈.
이 상황에서 급여로 이자 10~20억을 가져가라니...

한유총 입장에선 생존이 걸린 문제.

하나의 유치원을 가지고 있는 원장의 경우 아무 문제가 없으나.
복수개를 가지고 있으면 복수 원장 취임이 안돼서
한군데서만 급여를 받을 수 있는 데
5개 유치원 금융비용 10,20억을 가져가라니
생존투쟁, 준법투쟁이란 말이 나온다는 상황...

한 발 떨어져서, 근본적으로
무리한 투자를 비리로 감당하는 구조를
놔둘 것이냐란 문제라는 점.

무리하게 근처 유치원들을 독과점 구조로 밀어넣고
자체 원비 담합. 자체적으로 공립 유치원 대응 (종일반 영업 금지 등)
학부모 묶어서 정치 세력화를 한 것이
사립 유치원의 비지니스 모델이었던 것.

이 좋은 시장을 왜 진작 몰랐을까나...
무제한적 비리를 통해 현금 장사할 수 있는 핵심 수익 사업이었는데...
2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2

얍스얍스님의 댓글

깔끔한정리 감사합니다

축하합니다. 첫댓글 포인트 72포인트를 획득하였습니다.

커지면보자님의 댓글

회원사진

애들 코묻은돈 빼서먹는 장사가 절대 안망한다더니

이건 애들뿐아니라 부모까지 등골 다 빼먹는거네요

전 이번 정부의 강력대응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지금도 출산율 떨어지는데

아이들이 처음접하는 교육기관이라 할수있는 유치원이 비리 천국이라면

아이들이 제대로된 가르침과

온전한 스승 이라는 개념을 알지 못하겠지요

물론 유치원 선생님들이 못한다는건 절대 아닙니다

이번을 계기로 교육 전반에 획기적인 바람이 불어서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으로 조금이나마 바뀌면 좋겠네요

전체 1,101 건 - 10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