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아찌넷

ajji.net

ajji.net

ajji.net

지식정보

지식정보 게시판은 회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회생활의 각종 지식과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이 게시판은 회원 로그인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가십성 콘텐츠는 자유게시판을 활용해 주세요.

다시 주목받는 책 "부동산 대폭락 시대가 온다"

  • - 첨부파일 : s06Ns60egj90bs4ve5.jpg (322.0K) - 다운로드
- 별점참여 : 전체 0
  • - 별점평가 : 평점
  • - [ 0점 ]

본문

저자가 2008년에 펴낸 책.
이후 4~5년 사이 30%의 급락을 맞았다.
다시 이 책이 주목받는 건 대폭락의 시기가 시작됐기 때문


부동산에 의해서 출렁거리는 세계경제 그 한 구성요소로 한국의 부동산이 있다.
2001년 IT 버블이 폭락하던 그때 시중에 풀렸던 돈들은 미친듯이 부동산으로 달려갔고, 그 이후로 2번의 강력한 부동산 상승을 경험하게 된다. 그 정점은 2007년 말.

IMF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는 기대감과 함께,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 부동산폭락은 장기적인 상승을 가져온다는
확신을 가지게 된다. 특히, IMF때 폭락후 V자형 폭등은 평범한 서민들에게 V자의 로망스를 만들어내기에 너무 더 없이 좋은 기회였다.

2001년 이후 대략 5~6년간 급속하게 달려온 부동산 폭등의 경험은 한국사회의 다양한 히스테리 증상을 가져오게 된다.

1) 역시 큰돈이든 작은돈이든 부동산이 최고다.부동산은 절대 실패하지 않는다.
    - 부동산에 대한 맹목적 사랑은 박경리의 "토지"를 보면 이해한다.
    - 부동산은 한국사람에게 일종의 "한"이라고 정의하는 사람도 있다.
2) 부동산으로인한 자산의 급격한 양극화로 인해 부동산을 더욱 신봉하게 된다.
  - 20년간 한곳에 터를 잡고 살던 사람이 과거 2배차이나던 집값이 지금의 집값으로 최고 100배의 차이가 난다.
  - 투자를 잘해서 그런걸까? 이걸 운이라고 이야기 한다면 할말없지만, 투자라고 한다면 그건 무슨 개똥논리인가
  - 이것도 투자란다. - 부동산이나 건설회사나 정치인들은..
3) 부동산 투자는 "한방"이 있다. 인생도 "한방"이 있다.
  - 대한"방" 민국 이라고 불릴정도로 한방이 판을 친다.
  - 부동산에서 큰돈 만졌다는 사람들이 외제차 몰고 거들먹 거리고 다닌다.
  - 나도 한방 벌어야 하는데..
4) 이젠 희망이 없다.
  - 강남 부동산 가격이 평당 3000만원을 돌파할 즈음.. 20평짜리 아파트 하나가 6억이란다.
  - 보통사람들 평생 벌어서 30평짜리 아파트 하나 사기 어렵다고 이젠 희망이 없다는 말을 한다.
  - 사회 전반에 희망을 찾기 어렵게 된 이유는 못오를 나무가 갑자기 빠른 시간내에 많이 생겼다.
  - 청년실업 300만시대라고 한다. (실질 실업률은 10%에 육박한다고 한다)

기타등등...

집단적 히스테리 증상은 급기야 사회 전반에 사회적 병리현상을 만들어 내게 되고.. 그 특징적 모습은 젊은 사람들의 무조건 적인 해외이민, 해외동경 현상 즉 한국탈출현상 그자체이다.

한국을 무너트리는 그 암적 존재인 부동산.. 그러나 실상은 한국인이 가진 한국적 자존감 부족에서 비롯된 두려움이라고 분석하고 싶다.

이 모든 현상의 한 축에 부동산이 자리잡고 있다.

선대인의 부동산 대폭락 시대가 온다는 몇가지 경제적 요인 - 부동산의 거시적, 미시적 경제원리와 인구통계학적 요소, 국제적 경제 운영 현황을 예를 들며 부동산이 조만간 대폭락 할수 밖에 없다고 논리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폭락이 장기적이라는 점이다. 인구통계학과 과잉 공급되는 부동산으로 인해 향후 부동산은 역사적 고점을 이미 돌파했다는 논리이다.

책은 처음 전제가 부동산은 지속적으로 폭락한다이다.
대부분의 근거는 부동산 폭락의 이유로서 설명된다. 그 반대편에서 설명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책을 읽는 사람으로서 충분히 공감가고 이해되도록 논리적인 간결성은 가지고 있으나 똑같은 자료를 폭락으로만 설명할수 있는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부동산이 적절한 수준까지 가격이 내려가야 한다는 점에는 100% 찬성한다.
한국 경제가 발전하고 집단적 히스테리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서는 비경제적 활동인 부동산이 적절한 가격에서 움직여야 할것이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621 건 - 155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