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아찌넷

ajji.net

ajji.net

ajji.net

지식정보

지식정보 게시판은 회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회생활의 각종 지식과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이 게시판은 회원 로그인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가십성 콘텐츠는 자유게시판을 활용해 주세요.

흔한 일본어 잔재 몇가지

  • - 첨부파일 : FB_IMG_1595585817499.jpg (109.9K) - 다운로드
- 별점참여 : 전체 0
  • - 별점평가 : 평점
  • - [ 0점 ]

본문

땡기는 김에 일본어 잔재 30편입니다.

1. 쇼바 : 자동차의 쇼바...는, 원래 영어로는 쇼크 업소버입니다.  Shock Absorber.  충격을 흡수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쇼크를 빼고, 더 나아가 맨앞의 Ab를 뺍니다.  그러면 쇼버만 남죠.  (자동차 부품이나 용어들은 그야말로 일본어 잔재의 보고(?)입니다.  이쪽에서 일하시는 분들... 노력 좀 해주세요.

2. 빵꾸 : 영어로는 puncture입니다. パンク [←puncture]발음상 펑쳐여야 한데 왜 빵꾸가 되느냐?  우선 일본어에서는 'ㅓ' 발음이 없습니다.  그래서 '펑'은 '빵'이 됩니다.  나머지 '꾸'는?  원래 영어에서 puncture에서 맨앞의 punc만 잘라버린 결과입니다.

3. 몸뻬 : 네.  일본어입니다.  もんぺ. 일본의 작업뵥, 특히 여자들의 작업복입니다.  일본 전시에, 몸뻬 착용 의무법도 생긴 적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사치스러운 복장을 못하게 하고, 일을 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말로는 고무줄바지라고 합니다. (일잔 최초로 아름다운 몸뻬의 사진을 드립니다..)  몸빼, 몸뻬이.  둘 다 같은 말입니다.

4. 당꼬바지 : 오늘은 바지를 두 개나 들고 왔습니다.  몸빼와 당꼬.  몸뻬가 일본 여자의 옷이라면 당꼬는 남자 바지입니다.  이 바지는 유럽에서 원래 승마나 전투의 바지였습니다.  바지통이 넓으면 말을 타거나, 전투에서 자꾸 걸리적거렸겠죠.  (각반의 필요성도 그래서였을 겁니다.)  그럼 왜 '당꼬'냐?  일본어로 당꼬는  炭鉱たんこう. 즉, 탄광입니다.  탄광에서도 바지통이 넓으면 곤란하겠죠. 그래서 일본에서는 당꼬바지라고 불렀습니다.

5. 빠루 : 쇠지레입니다.  작년 한때, 나경원 때문에 유명해졌습니다. (걔들은 참... 일본어 좋아합니다... 겐세이, 돗고다이, 아까징끼 등등...)  왜 빠루라고 하느냐?  원래 영어로는 Crow Bar입니다.  까마기몽둥이라고 보면 될까요?  쇠지레는 까마귀 발처럼 생겼기 때문입니다.  일본인들은 여기서 우선 Crow를 뺍니다.  그럼 Bar(바루....^^;;)만 남습니다.  이 바루를 강하게 발음해서 빠루가 되었습니다.  쇠지레라는 표준어가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빠루는 심지어 법원에서도 기록되었습니다.  머리가 대가리라서 그렇습니다.  빠루로 맞아야 될 것들입니다.

건축이나 건설 현장에서도 정말 일본어의 보고(또...)입니다.  그 보물들을 언제까지 끌어안고 사실 건지....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621 건 - 159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