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아찌넷

ajji.net

ajji.net

ajji.net

지식정보

지식정보 게시판은 회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회생활의 각종 지식과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이 게시판은 회원 로그인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가십성 콘텐츠는 자유게시판을 활용해 주세요.

술 마시고 얼굴 빨개지면 '이것' 부족

- 별점참여 : 전체 0
  • - 별점평가 : 평점
  • - [ 0점 ]

본문

6145661220c2dcf2bfe7d8fca16e8e00_1647296032_15388.jpg


술을 마시면 누구나 조금씩 얼굴이 붉어지곤 한다. 몸 속 혈관이 확장되면서 얼굴에도 혈액이 몰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금만 마셨음에도 얼굴이 쉽게, 심하게 붉어진다면 몸속에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한 상태일 수 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알코올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발암물질로, 몸에서 독성으로 작용해 혈관을 이완시키고 얼굴을 빨갛게 만든다. 메스꺼움, 구토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간이나 신장에서 발생하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ALDH )’에 의해 분해되지만,  ALDH  양이 적을 경우 혈액 속에서 제대로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많이 남게 된다. 이로 인해 얼굴이 잘 붉어지고 숙취 또한 심할 수 있다. 반면 분해 효소가 충분한 사람은 얼굴이 붉어지는 정도가 약하고, 쉽게 본래 혈색으로 돌아온다.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잘 분해되지 않을 경우 관상동맥질환 예방을 위해서라도 음주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증가하면 과다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HDL  콜레스테롤 부족은 관상동맥 경련으로 혈관이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변이형 협심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음주와 흡연을 모두 할 경우, 심장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한편, 술을 계속해서 먹다 보면 붉게 변한 피부색이 다시 본래 색으로 돌아오기도 하는데, 이는 우리 몸이 음주 상황에 적응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몸에 알코올이 들어오면 처음에는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적응될수록 덜 예민하게 반응한다. 때문에 얼굴색이 돌아왔다고 해서 술이 깨거나 알코올이 분해된 것으로 오해해선 안 된다. 술을 마신 뒤 얼굴이 심하게 붉어진다면 음주를 멈추도록 한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621 건 - 164 페이지